top of page


XR패션쇼 [사진=까스텔바작]


지난 11월 12일, 에펠탑 아래에서 한 골프웨어(까스텔바작)의 패션쇼가 열렸다. 한국인 2만1000명이 그 모습을 지켜봤다. 코로나19 확산 상황에서 믿을 수 없는 일이다.


사실 이는 온라인으로 진행됐다. 사용된 기술은 확장현실(XR)이다. XR은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을 아우른다.


그러한 연유로 패션쇼 이름에 XR이 붙었다. XR 패션쇼는 스페이스엘비스(XR 메타버스 기업)와 슈퍼빅(디지털 패션 콘텐츠 기업)이 협업해 탄생했다.


여기에 라이브 커머스(실시간 상거래)가 접목됐다. 실제 모델들이 가상공간(에펠탑 아래)에서 입고 걸어 나온 옷들이 불티나게 팔리기 시작했다. 구스다운(거위털) 점퍼는 고가임에도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판매량이 120% 증가했다.


코로나19 확산 전에는 볼 수 없었던 색다른 풍경이다. MZ세대의 마음을 XR로 홀렸다.


까스텔바작 관계자는 "골프웨어 브랜드로는 세계 최초로 가상공간을 통해 신개념 XR패션쇼를 진행해 자부심을 느낀다"며 "앞으로도 시대의 흐름을 간파해, 새로운 서비스를 소비자들에게 앞서 제공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이번 XR패션쇼는 한국콘텐츠진흥원(이하 콘텐츠진흥원)의 후원으로 성사됐다. 콘텐츠진흥원은 심사를 거쳐 후원할 4개 브랜드를 선정했다. 까스텔바작을 비롯해 휠라, 피치스, 차이킴이 이름을 올렸다.


휠라 역시 가상공간 패션쇼로 대박을 터트렸다. 브랜드 창립 110주년을 기념해 열린 휠라`s 스마트 팩토리 라이브의 총접속자 수는 7만명에 육박했다. 판매량은 3배에 달했다.


전염병이 대면하던 사회를 비대면하게 만들었다. 홍보하기 위한 도구를 공공기관과 기업들이 만들었고, 이러한 결과를 낳았다. 현장에서 눈으로 보던 패션쇼를 이제는 모바일, 컴퓨터, 태블릿, 텔레비전 등으로 접할 수 있게 됐다.


가상현실은 코로나19의 등장으로 발전하고 있다. VR과 AR, MR(혼합현실)을 넘어 XR까지. 치료제 없는 전염병처럼 이제는 피할 수 없는 공존이 됐다.


이동훈ldhlive@ajunews.com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9일 코엑스에서 '2021년 지식서비스융합 콘퍼런스' 행사를 개최했다.


컨퍼런스는 지식서비스 분야 국내외 혁신사례와 성공 노하우를 공유해 국내 지식서비스산업을 활성화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열렸다.


<왼쪽부터 이승호 스페이스엘비스 대표, 김태종 월드버텍 대표, 이채욱 현대영어사 본부장, 이랑혁 구루미 대표, 김상모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기술융합정책관, 장봉진 유비온 연구소장, 원영복 피이앤제이 수석전문위원, 최명수 소프트제국 대표, 김지혜 테크빌교육 상무>


이날 지식서비스 산업 유공자(장관 표창)에는 장봉진 유비온 연구소장, 최명수 소프트제국 대표, 김지혜 테크빌교육 상무, 원영복 피이앤제이 수석전문위원이 개인 수상자로 이름을 올렸다. 단체 표창에는 월드버텍, 현대영어사, 스페이스엘비스, 구루미가 수상했다.


이후 지식서비스 산업 발전방안 기조 강연과 팬데믹 이후 수요가 증가하는 이러닝·에듀테크 기업 성공 사례 발표가 이뤄졌다.


기조연설에는 송세규 유데미 한국비즈니스 총괄, 홍종민 휴넷 소장, 진영현 KISTEP센터장, 이호건 청주대 교수가 참여해 국내외 에듀테크·직업훈련 발전방향과 지식서비스 동향을 소개했다.


우수사례 발표에선 뤼이드, 지니로봇, 구루미, 클라썸 4개 기업이 인공지능(AI), 로봇, 메타버스 활용 교육과 비대면 지식서비스 산업 해외 진출 사례를 공유했다.


지식서비스는 지식의 생산·가공·활용·유통을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으로 코로나19로 비대면 활성화, 소비패턴 변화 등에 따라 그 중요성이 높아지는 산업 분야다. 산업부는 지식서비스 분야 기술개발 예산을 2020년 460억원에서 내년에는 616억원으로 증액, 지원규모를 매년 확대하고 있다.



김상모 산업부 산업기술융합정책관은 “이러닝산업은 교육 및 산업현장 비대면 수요 증가로 작년 매출액이 전년 대비 17% 증가한 약 4조6000억원을 기록했다”면서 “지식서비스 산업의 디지털 전환 및 비대면화를 집중 지원하고 우수 기업의 해외 진출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김명희기자 noprint@etnews.com


김도완 배우 미디어아트 공연…HSP 지원



파나소닉코리아는 기술지원한 특별기획展 ‘예술의전당 메타 갤러리’가 지난 20일부터 예술의 전당에서 열리고 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예술의 전당 메타 갤러리’展 은 최근 트렌드를 반영해 영상 테크놀로지와 아트의 결합을 통한 시너지와 가능성을 보여주고자, 파나소닉의 독자적인 기술인 HSP(High Speed Tracking Projection) 연출을 통해 맵핑 영상이 퍼포머의 위치를 따라가는 공연을 선사한다.


또한 XR 콘텐츠 전문기업 스페이스 엘비스를 통해 다양한 실감미디어 기술을 적용시켜 한층 더 완성도 높은 기획전을 꾸몄다.


하이스피드 트래킹이란 실시간으로 피사체의 위치를 고속으로 추적해 프로젝터의 영상이 피사체를 지연없이 따라가는 방식이다.


HSP 공연은 매주 금, 토, 일에 펼쳐진다. 총 25분(공연 10분, 체험 15분)으로 이뤄지는 HSP 공연은 금요일은 18:30분과 19:00시, 주말인 토요일과 일요일은 13:30분과 14:30분 총 두 차례에 걸쳐 관람객들에게 선보인다.


전시는 4가지의 콘셉트로 이뤄지며, 첫 번째 테마는 ‘인터랙션 공연 문화를 바꾸다’로 파나소닉의 기술인 HSP 무대를 선보인다. 여러 무대를 통해 탄탄한 연기력을 갖춘 김도완 배우가 직접 무대에 올라 꾸미는 이번 퍼포먼스는 기획전이 진행되는 매주 금토일에 관람객들에게 선보일 예정이다.


두 번째 테마 ‘메타, 공연예술이 진화하다’는 홀로그래픽 시스템을 바탕으로한 공연예술로 꾸며지며, 세 번째 테마 ‘빛을 담은 악기와 마주하다’와 마지막 테마 ‘다양한 곳에 이야기를 담아’에서는 프로젝션 맵핑 등 파나소닉의 아름다운 공간 연출로 관람객들과 호흡한다.

한편, 예술의 전당 한가람 미술관(제7전시실)에서 11월 20일부터 12월 5일까지 열리는 이번 전시는 사전 예약 없이 전 연령대가 무료로 관람할 수 있으며, 매일 10시부터 19시까지 운영된다.


전자신문인터넷 이상원기자 sllep@etnews.com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