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 사전시각화 기술활용과 새로운 패러다임 제시


'AIR' 포스터 (사진제공=스페이스엘비스)


[더프리뷰=서울] 전수산나 기자 = CG와 VFX를 기반으로 다양한 공연과 전시를 제작하며 차세대 실감 미디어 시장을 개척하고 있는 스페이스엘비스가 XR 홀로그램 뮤지컬 를 9월 6일(월)-10일(금) 닷새 동안 흰물결아트센터에서 선보인다.


6-7일 이틀간은 전문가 대상 쇼케이스를 열고 8일부터는 일반 관람객을 대상으로 상영한다.


뮤지컬 는 현재 코로나 시대처럼 팬데믹 시대를 살아가는 인류와 그 인류를 구원하기 위해 선택받은 한 소녀의 이야기를 다룬다. 지독한 환경오염으로 가난과 고통 속에 사는 사람들을 위해 정부가 미니 드론을 개발하게 되는 과정에서 더 큰 재앙을 불러오는 상황과 직면한다. 이때 위마 숲에 사는 초록색 벌을 만나면 된다는 탐정의 말로 인류를 구하기 위해 새로운 세계로 떠나는 소녀의 모험기를 홀로그램 공연으로 담은 작품이다.


공연은 관람객 동선에 따라 다양한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게 제작됐다. 먼저 공연장에 입장한 관객은 기다리는 동안 뮤지컬 의 홍보 영상과 페이크 뉴스 형태의 영상을 볼 수 있다. 이동하는 통로에서는 관객 움직임에 따라 캐릭터 움직임이 반응하는 프로젝션 매핑이 준비돼 있다. XR 홀로그램 뮤지컬 관람 후 퇴장하는 에필로그 통로에서는 인터랙션 콘텐츠를 체험하는 동시에 마무리된다.


이 작품의 묘미는 차별화된 기술 개발. 5G 기술을 활용한 VRPN(Virtual-Reality Peripheral Networks) 기반의 비대면 공연 관제 솔루션 프로그램으로 기존 공연 시스템의 절반에 가까운 인력만으로도 운용을 가능케 했다. 또 언리얼 엔진 바탕의 사전 시각화부터 솔루션 제어, VR 스카우팅까지 XR 홀로그램 공연을 빠르고 엄격하게 관리할 수 있게 했다.


스페이스엘비스측은 “뮤지컬 는 콘텐츠 간 연계된 스토리텔링을 바탕으로 공연 시스템을 구축해 홀로그램 뮤지컬과 함께 재미있게 볼 수 있을 것”이라며 “연기자 실사 촬영을 통해 리얼리티를 강조했고, 화려한 특수효과로 볼거리가 많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예매는 온오프믹스 홈페이지에서 가능하다. 관람료는 5천원.


저작권자 © 더프리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수산나 기자

sallysanna@naver.com




지난 13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전파진흥협회가 주관, 디지털뉴딜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하는 ‘XR 메타버스 프로젝트’ 공모사업에 맥스트 콘소시엄이 선정됐다.



사진제공: 맥스트


맥스트가 주관사를 맡고 국내 XR 분야의 전문 기술 기업들이 참여하여 구성된 콘소시엄은 서비스 콘텐츠 개발 분야에 ▲위즈윅스튜디오 ▲스페이스엘비스 ▲렛시, 메타버스 플랫폼 개발 분야에 ▲맥스트 ▲알파서클, AR글래스 개발 분야에 ▲레티널 ▲파노비젼, 품질 인증 및 시험 분야에 구미전자정보기술원 등으로 조직됐다.

XR 메타버스 프로젝트는 현실 같은 가상공간을 만들어 증강현실로 현실 세계와 서비스가 연결된 메타버스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으로, 맥스트는 ▲관광 및 여행 정보를 제공하는 AR 도시정보 서비스 ▲청각 및 시각 사회적 약자를 위한 AR 공간안내 서비스 ▲매장별 맞춤형 정보를 서비스하는 AR 광고 서비스 ▲사용자 체험형 AR 전시 서비스 ▲지역 맞춤형 스토리텔링 체험인 AR 투어&리뷰 서비스 ▲이동형 AR 미션 게임 서비스 ▲AR 내비게이션 서비스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사용자가 동시에 참여하는 XR텔레프레즌스 서비스 등 총 8가지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향후 XR 서비스 사용자는 App-in-app 방식의 통합 애플리케이션 하나만 다운로드 받으면 이 모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현재 서비스 실증 지역으로 서울 창덕궁과 북촌 한옥마을, 천안 독립기념과 3개 지역, 약 170만 제곱미터의 실내외 공간을 대상으로 추진 중에 있다.

이번 사업은 개방형 오픈 플랫폼으로 진행된다는 것이 눈에 띄는 점이다. 누구에게나 3곳의 실증 지역에 대한 XR 공간지도 데이터를 활용, XR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XR 콘텐츠 제작 스튜디오’가 제공된다. 다른 지역에도 XR 공간지도를 제작할 수 있는 ‘XR 공간지도 제작 도구’도 공개될 예정이다.

박재완 맥스트 대표는 “이번 메타버스 프로젝트를 위해 콘텐츠-플랫폼-네트워크-디바이스의 CPND 모든 영역에서 국내 최고의 XR 기술력을 보유한 기업이 대거 참여했다”라며 “앞으로 메타버스 플랫폼을 만들어 서비스 대상 지역을 확대해 나갈 것이며, 크라우드 소싱 방식의 XR 공간지도 기술을 통해 보다 빠른 XR 메타버스 생태계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맥스트는 국내 최고 수준의 AR 글래스를 제작해 이를 사용자들이 직접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레티널이 보유한 핀미러 광학 기술을 적용하여 총 무게 100g 이하의 실용적인 AR 글래스를 상용화할 계획이다.

한편, XR 메타버스 프로젝트에 선정된 맥스트는 XR 메타버스 생태계 구축을 위해 2022년까지 총 80억 원을 지원받게 되며, 2023년에는 수행 평가 결과에 따라 국비를 추가로 지원받는다.


bottom of page